일반물리학/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힘의 벡터 합성 실험 - 일반물리학 실험 : 힘의 벡터 합성 실험보고서 실험제목 힘의 벡터 합성 실험목표 힘의 평형장치를 이용하여 몇 개의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알아보고, 이를 해석법과 작도법으로 비교 분석을 통해 벡터의 합성을 이해한다. 실험결과 (1) 측정 추 Fa Fb Fc θ(=θb-θa) 회수 Fa (g) θa (˚) Fb (g) θb (˚) Fc (g) θc (˚) θ (˚) 1 50 0 50 121 50 239 121 2 80 0 110 96 130 236.5 96 (2) 계산 실측값 계산값 계산값과의 상대오차 (%) Fc (g) ф (˚)=θc-180-θa R' (g) ф' (˚) |1-Fc/R'|x100 |1-ф'/ф|x100 50 59 49.3 60.5 1.4 2.5 130 56.5 129.1 57.9 0.7 2.5 (3) 작도 실측값 작도값 작도값과의 상대오차 (%) Fc (g) ф (˚)=θc-180-θa R" (g) ф" (˚) |1-Fc/R''|x100 |1-ф''/ф|x100 50 59 49.0 59.5 2.0 0.8 130 56.5 129.0 58 0.8 2.6 실험결과의 분석 실험을 한 결과 실측값과 계산값, 실측값과 작도값이 각각의 상대오차의 결과를 보아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오차 요인은 여러가지 일 수 있으나 실험에서 사용한 도르래와 실이 가진 마찰력으로 인해 힘이 온전히 전달되지 않았을 것이다. 두 실험에서 실측값과 계산값의 각도, 그리고 두번째 실험의 실측값과 작도값의 각도의 경우 3도 이내의 오차를 보이는데, 각을 측정할 때 0.5도 단위로밖에 측정하지 못하여 생긴 결과로 보인다. 또한 추의 무게를 측정 시 저울의 기울기나 놓았던 위치에 따라 정확한 추의 질량이 측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힘의 평형장치의 조준 나사로 장치를 완전한 수평으로 만들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이 오차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측정 결과에서 실험1과 2의 θ(=θb-θa)의 값은 실험1에서 121-0 = 121˚, 실험2에서 96-0 = 96˚로 측정되었다. 계산 결과에서 R’의 상대오차는 실험1에서 |1-50/49.3| * 100 = 약 1.4198의 결과가 나왔으며 실험2에서 |1-130/129.1| * 100 = 약 0.69713으로 계산되었다. 계산 결과에서 ф의 상대오차는 실험1에서 |1-60.5/59| * 100 = 약 2.5423의 결과가 나왔으며 실험2에서 |1-57.9/56.5| * 100 = 약 2.4778으로 계산되었다. 작도값 결과에서 작도를 그려 R’’의 상대오차를 측정한 결과 실험1에서 |1-50/49| * 100 = 약 2.0408의 결과가 나왔으며 실험2에서 |1-130/129| * 100 = 약 0.7751으로 계산되었다. 작도값 결과에서 작도를 그려 ф’’의 상대오차를 측정한 결과 실험1에서 |1-58/56.5| * 100 = 약 2.6548의 결과가 나왔다.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yjglab Contents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일반물리학 실험] 용수철 진자 실험 2021.06.11 [일반물리학 실험] 포사체 운동 실험 2021.06.11 [일반물리학 실험] 자유낙하에 의한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 2021.06.11 [일반물리학 실험] 등가속도운동 가속도 측정 실험 2021.06.11 댓글 0 + 이전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