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테스트 ⏲/백준
-
3190번: 뱀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 www.acmicpc.net 내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arr = [[0] * n for _ in range(n)] k = int(input()) for _ in range(k): x, y = map(int, input().split()) arr[x - 1][y - 1] = 1 l = int(input()) action = deque() for _ in range(l): x, c = input().split() action.appe..
[구현] 뱀 풀이 (백준 3190 / 삼성전자 SW 역량테스트)3190번: 뱀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 www.acmicpc.net 내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arr = [[0] * n for _ in range(n)] k = int(input()) for _ in range(k): x, y = map(int, input().split()) arr[x - 1][y - 1] = 1 l = int(input()) action = deque() for _ in range(l): x, c = input().split() action.appe..
2022.07.08 -
18406번: 럭키 스트레이트 첫째 줄에 점수 N이 정수로 주어진다. (10 ≤ N ≤ 99,999,999) 단, 점수 N의 자릿수는 항상 짝수 형태로만 주어진다. www.acmicpc.net 개인 풀이 arr = list(map(int, input())) print("LUCKY") if sum(arr[:len(arr) // 2]) == sum(arr[len(arr) // 2:]) else print("READY") array를 반으로 인덱싱하여 각 배열의 원소를 합한 결과를 비교해 동일한 경우 "LUCKY"를, 그렇지 않은 경우 "READY"를 출력하면 정답 판정을 받을 수 있다.
[백준 18406] 럭키 스트레이트 풀이 / Python18406번: 럭키 스트레이트 첫째 줄에 점수 N이 정수로 주어진다. (10 ≤ N ≤ 99,999,999) 단, 점수 N의 자릿수는 항상 짝수 형태로만 주어진다. www.acmicpc.net 개인 풀이 arr = list(map(int, input())) print("LUCKY") if sum(arr[:len(arr) // 2]) == sum(arr[len(arr) // 2:]) else print("READY") array를 반으로 인덱싱하여 각 배열의 원소를 합한 결과를 비교해 동일한 경우 "LUCKY"를, 그렇지 않은 경우 "READY"를 출력하면 정답 판정을 받을 수 있다.
2022.07.03 -
[백준 C++] 알고리즘 10250. ACM 호텔 작성 코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H, W, N, o; scanf("%d", &o); for (int i = 0; i < o; i++) { int p = 1; int x, y = 1; scanf("%d %d %d", &H, &W, &N); while(p
[백준 C++] 알고리즘 10250. ACM 호텔[백준 C++] 알고리즘 10250. ACM 호텔 작성 코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H, W, N, o; scanf("%d", &o); for (int i = 0; i < o; i++) { int p = 1; int x, y = 1; scanf("%d %d %d", &H, &W, &N); while(p
2021.08.30 -
[백준 C++] 알고리즘 2869.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작성 코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A, B, V; scanf("%d %d %d", &A, &B, &V); int sum = 1; int diff = (V - A) / (A - B); if ((V - A) % (A - B) == 0) sum += diff; else sum += diff + 1; printf("%d", sum); } 후기 A, B, V간의 규칙을 찾아내면 가볍게 풀어낼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달팽이가 도착하기 까지 걸리는 일 수를 구하는 문제인데 문제 안에 숨어있는 규칙을 찾아내면 (A - V) / (A - B) 일이 나옵니다. 이 때 계산 값의 나머지가 0이면 sum에..
[백준 C++] 알고리즘 2869.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백준 C++] 알고리즘 2869.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작성 코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A, B, V; scanf("%d %d %d", &A, &B, &V); int sum = 1; int diff = (V - A) / (A - B); if ((V - A) % (A - B) == 0) sum += diff; else sum += diff + 1; printf("%d", sum); } 후기 A, B, V간의 규칙을 찾아내면 가볍게 풀어낼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달팽이가 도착하기 까지 걸리는 일 수를 구하는 문제인데 문제 안에 숨어있는 규칙을 찾아내면 (A - V) / (A - B) 일이 나옵니다. 이 때 계산 값의 나머지가 0이면 sum에..
2021.08.30 -
[백준] 알고리즘 1065. 한수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10 예제 출력 99 예제 입력 1 예제 출력 1 예제 입력 210 예제 출력 105 예제 입력 1000 예제 출력 144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dgtSequence(int n) { if (n == 1000)..
[백준] 알고리즘 1065. 한수[백준] 알고리즘 1065. 한수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10 예제 출력 99 예제 입력 1 예제 출력 1 예제 입력 210 예제 출력 105 예제 입력 1000 예제 출력 144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dgtSequence(int n) { if (n == 1000)..
2021.08.13 -
[백준] 알고리즘 4673. 셀프 넘버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
[백준] 알고리즘 4673. 셀프 넘버[백준] 알고리즘 4673. 셀프 넘버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
2021.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