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에는 +, -, *, /, %, ++,! 등이 존재한다.
위와 같이 60초를 분당 초로 상수로 정의하고 원하는 초를 분과 초로 바꿔주는 계산이 가능하다.
++, -- 는 증감연산자이다.
변수 x는 0의 값으로 선언되어 첫 출력시 0으로 출력된다.
그다음 x의 값에 1이 추가되어 두번째 출력시 1로 출력된다.
그다음은 x가 우선 1로 출력이 된 이후의 증감이 이루어져 다음 네번째 출력시 값은 0이 된다.
다섯번째 출력시에는 x의 값이 1 줄어든 후 출력이 된다.
대수학에서의 등호와 프로그래밍에서의 등호는 다르다. 프로그래밍의 등호는 왼쪽에 있는 변수에 오른쪽의 값을 넣어준다는 의미이다. %의 경우 x를 3으로 나눈 값의 나머지를 출력한다.
이 글은 프로그래머 나동빈님의 강의 내용을 개인적인 학습을 목적으로 정리하여 쓴 글임을 밝힙니다.